닫기

대한의료관련감염관리학회

View

Editorial Commentary

Korean J healthc assoc Infect Control Prev 2022; 27(1): 1-3

Published online June 30, 2022 https://doi.org/10.14192/kjicp.2022.27.1.1

Copyright © Korean Society for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

Chechk for updates

Daily Chlorhexidine Bathing as a Simple Solution for Prevention of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s in the ICU

Seung Soon Lee1,2

Division of Infectious Diseases,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Hallym University Chuncheon Sacred Heart Hospital1, Division of Infectious Diseases,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Hallym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2, Chuncheon, Korea

Correspondence to: Seung Soon Lee, E-mail: hushh93@gmail.com, ORCID: https://orcid.org/0000-0003-1797-3426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손위생과 수술부위 피부소독을 넘어 소독제, 특히 chlorhexidine gluconate (CHG)를 이용한 침상 목욕이 의료관련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는 개념이 도입되고 적용되기에 이르렀다. CHG는 신체 내에서 양전하를 띠게 되는데, 따라서 음전하를 띤 세균의 세포벽 및 세포막과 반응을 통해 0.01%의 낮은 농도에서도 세균 세포의 균열 및 살균 작용을 보이게 되며 잔류효과를 보일 수 있다. 이러한 작용기전에 기반하여 CHG가 중심정맥관 연관 혈류감염 및 수술부위감염 예방에 있어 povidone-iodine보다 우월하다는 것이 여러 연구들을 통해 확인되었다[1-3]. 더 나아가 일상적인 매일 CHG 침상목욕이 중환자실에서 의료관련감염 예방에 효과적이라는 잘 고안된 연구들이 보고되었다[4-6]. 급성기병원 뿐 아니라 장기요양시설의 적지 않은 환자들이 multidrug-resistant organisms (MDROs)을 보균하고 있는데, 급성기병원의 중환자실에 입원하는 환자들에게 매일 CHG 침상목욕을 시행함으로써 보균자에서 MDROs의 탈집락 뿐 아니라 MDROs의 전파 위험을 감소시켜 의료관련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침상목욕을 위해 사용되는 CHG의 농도로는 2%와 4%가 가장 흔히 사용되며, 특히 2% CHG는 피부에 높은 CHG 잔류농도를 보여 24시간까지 살균효과가 지속되면서도 피부 건조를 잘 일으키지 않아 선호된다[7]. 그 간의 임상연구를 통해 CHG 침상목욕은 1-2% 이내에서 경한 피부 이상반응을 유발할 수 있으며 중단하면 빠르게 회복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드물지만 아나필락시스 증례 보고가 있었다[4-6,8,9]. 매일 CHG 침상목욕을 시행함에 있어 간호사와 간호보조인력에 대한 교육이 중요한데, 특히 얼굴과 회음부 그리고 신체로부터 적어도 15 cm 정도까지의 라인, 튜브, 배액관, 기구를 주의해서 CHG로 닦아주는 것이 중요하겠다[10]. 한편, 매일 CHG 침상목욕을 적용하게 되면 CHG에 대한 내성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모니터링이 필요할 수 있겠다. 하지만, 2-4% CHG를 적용한다는 것은 피부에서의 CHG의 농도 20,000-40,000 µg/mL에 해당하며, S. aureus 혹은 그람음성 세균에 대한 CHG 최소억제농도가 각각 8 µg/mL, 그리고 32->300 µg/mL임을 감안할 때 올바른 방법으로 매일 CHG 침상목욕을 적용하기만 한다면 CHG에 대한 내성 출현은 큰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겠다.

미국의 많은 중환자실에서 의료관련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매일 CHG 침상목욕을 best practice의 한 방편으로 적용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장벽이 높은 것이 사실이다. 첫째, 이전부터 환자의 위생을 위한 침상목욕에 대한 행위수가가 있었지만 이러한 낮은 행위수가를 기반으로 중환자실에서 매일 CHG 침상목욕을 적용하기에는 현실적인 문제가 있다. 이번에 본 학회지에 실린 Cho 등[11]의 논문에서도 주말과 공휴일을 제외한 평일에만 CHG 침상목욕을 적용하여 간호 및 간호인력 활용의 제한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환자의 위생에 국한되지 않고 의료관련감염을 예방하는 매우 단순한 해결책으로서 매일 CHG 침상목욕에 대한 잘 고안된 국내 다기관 연구의 시행 및 행위수가의 신설 혹은 개선이 필요하겠다[12-15]. 둘째, 중환자실 간호사 및 간호보조인력이 보다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상품화된 chlorhexidine-impregnated washcloth의 사용이 매우 제한적이다. 국내에서 침상목욕 적응증으로 사용 가능한 상품화된 티슈타입의 CHG 제제는 4%만 허가되어 있으며, 젤타입의 상품화된 제제도 있으나 이는 세척을 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운 과정이 필요하다. 게다가 CHG 제제가 의약외품으로 분류되어 환자에게 개별적으로 청구할 수 없는 현실적인 문제도 있다. 언급한 바와 같은 행위수가와 CHG 제제와 관련된 현실적인 장벽이 해결될 수 있다면 개별병원, 특히 인적, 물적 자원이 부족하고 중환자실 재실기간이 상대적으로 긴 급성기병원의 중환자실 의료관련감염을 예방하는데 매일 CHG 침상목욕이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DISCLOSURE OF CONFLICT OF INTEREST

The author has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to disclose.

  1. Maki DG, Ringer M, Alvarado CJ. Prospective randomised trial of povidone-iodine, alcohol, and chlorhexidine for prevention of infection associated with central venous and arterial catheters. Lancet 1991;338:339-43.
    Pubmed CrossRef
  2. Mimoz O, Lucet JC, Kerforne T, Pascal J, Souweine B, Goudet V, et al. Skin antisepsis with chlorhexidine-alcohol versus povidone iodine-alcohol, with and without skin scrubbing, for prevention of intravascular-catheter-related infection (CLEAN): an open-label, multicentre, randomised, controlled, two-by-two factorial trial. Lancet 2015;386:2069-77.
    Pubmed CrossRef
  3. Darouiche RO, Wall MJ Jr, Itani KM, Otterson MF, Webb AL, Carrick MM, et al. Chlorhexidine-alcohol versus povidone-iodine for surgical-site antisepsis. N Engl J Med 2010;362:18-26.
    Pubmed CrossRef
  4. Climo MW, Yokoe DS, Warren DK, Perl TM, Bolon M, Herwaldt LA, et al. Effect of daily chlorhexidine bathing on hospital-acquired infection. N Engl J Med 2013;368:533-42. Erratum in: N Engl J Med 2013;368: 2341.
    Pubmed KoreaMed CrossRef
  5. Huang SS, Septimus E, Kleinman K, Moody J, Hickok J, Avery TR, et al. ; CDC Prevention Epicenters Program; AHRQ DECIDE Network and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s Program. Targeted versus universal decolonization to prevent ICU infection. N Engl J Med 2013;368:2255-65. Erratum in: N Engl J Med 2014;370:886.
  6. Milstone AM, Elward A, Song X, Zerr DM, Orscheln R, Speck K, et al. ; Pediatric SCRUB Trial Study Group. Daily chlorhexidine bathing to reduce bacteraemia in critically ill children: a multicentre, cluster-randomised, crossover trial. Lancet 2013;381:1099-106.
    CrossRef
  7. Rhee Y, Palmer LJ, Okamoto K, Gemunden S, Hammouda K, Kemble SK, et al. ;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Epicenter Program. Differential effects of chlorhexidine skin cleansing methods on residual chlorhexidine skin concentrations and bacterial recovery. Infect Control Hosp Epidemiol 2018;39:405-11.
    Pubmed KoreaMed CrossRef
  8. Huang SS, Septimus E, Kleinman K, Moody J, Hickok J, Heim L, et al. ; ABATE Infection trial team. Chlorhexidine versus routine bathing to prevent multidrug-resistant organisms and all-cause bloodstream infections in general medical and surgical units (ABATE Infection trial): a cluster-randomised trial. Lancet 2019;393:1205-15. Erratum in: Lancet 2019;393:1204. Erratum in: Lancet 2019; 394:470.
    CrossRef
  9. Huang SS, Singh R, McKinnell JA, Park S, Gombosev A, Eells SJ, et al. ; Project CLEAR Trial. Decolonization to reduce postdischarge infection risk among MRSA carriers. N Engl J Med 2019;380:638-50.
    Pubmed KoreaMed CrossRef
  10. Huang SS. Chlorhexidine-based decolonization to reduce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s and multidrug-resistant organisms (MDROs): who, what, where, when, and why? J Hosp Infect 2019;103:235-43.
    Pubmed CrossRef
  11. Cho SY, Jeong JS, Kim EO, Kim YH. Effects of stepwise application of active surveillance culture, preemptive isolation, and chlorhexidine bed bath on the acquisition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children undergoing cardiac surgery in the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Korean J healthcare assoc Infect Control Prev 2022;27:35-42.
    CrossRef
  12. Kim JS, Chung YK, Lee SS, Lee JA, Kim HS, Park EY, et al. Effect of daily chlorhexidine bathing on the acquisition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a medical intensive care unit with methicillin-resistant S aureus endemicity. Am J Infect Control 2016;44:1520-5.
    Pubmed CrossRef
  13. Suh JW, Kim NH, Lee MJ, Lee SE, Chun BC, Lee CK, et al. Real-world experience of how chlorhexidine bathing affects the acquisition and incidence of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VRE) in a medical intensive care unit with VRE endemicity: a prospective interrupted time-series study. Antimicrob Resist Infect Control 2021;10:160.
    Pubmed KoreaMed CrossRef
  14. Chung YK, Kim JS, Lee SS, Lee JA, Kim HS, Shin KS, et al. Effect of daily chlorhexidine bathing on acquisition of carbapenem-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CRAB) in the medical intensive care unit with CRAB endemicity. Am J Infect Control 2015;43:1171-7.
    Pubmed CrossRef
  15. Hong J, Jang OJ, Bak MH, Baek EH, Park KH, Hong SI, et al. Management of carbapenem-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epidemic in an intensive care unit using multifaceted intervention strategy. Korean J Intern Med 2018;33:1000-7.
    Pubmed KoreaMed CrossRef

Share this article on :

Most KeyWo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