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시체계 | 1. 모든 의료기관은 최소한 병원획득 CDI에 대한 감시체계가 있어야 하며, 이에 대한 감시는 특정 병동이나 센터, 전체 의료기관의 수준에서 시행한다. 2. 발생밀도는 10,000 환자-일당 발생한 총 CDI 건수로 표현한다. 3. 감시한 발생밀도는 즉시 피드백 한다. |
번들 접근 (Bundle Approach) | |
환자 격리 | 1. 환자 격리: 주변 환경의 오염을 피하기 위해 가능한 CDI 환자는 1인실 배정을 원칙으로 한다. 2. 격리를 위한 공간이 부족할 경우 다음의 사항을 고려할 수 있다. 1) 대변 조절이 어려운 환자를 우선 1인실 배정한다. 2) 코호트 격리를 고려한다. 3) 격리를 위한 공간 마련이 어려울 경우 CDI 환자만을 위한 지정된 화장실이나 간이 변기의 사용을 권고한다. |
개인 보호 장구 | 1. CDI 환자 진찰 시 일회용 가운과 장갑을 착용할 것을 권고한다. |
손위생 | 1. CDI 환자 접촉 후 철저한 손위생이 필요하며, 아래와 같은 사항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1) 물과 비누를 이용한 손 씻기는 아포에 대한 살균효과가 있어 효과적이다(예시 - CDI 유행상황인 경우, 손이 환자의 분비물로 직접 오염된 경우 등). 2) 알코올 손소독제를 이용한 손소독 또한, 손위생의 수행도를 향상시킴으로써 CDI의 예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예시 - 원내 CDI 유행상황이 아닌 경우, 뚜렷한 오염없이 CDI환자 진찰을 마친 경우). |
소독과 청소 | 1. CDI 환자 진찰 시 일회용품을 사용한다. 2. 일회용품 사용이 어려울 경우, 환자에게만 사용하는 전용 물품이나 기구를 지정한다. 환자가 퇴원하거나, 다른 환자에게 사용하기 전 아포 사멸에 효과가 있는 화학제를 이용한 철저한 소독을 시행해야 한다. 3. CDI 환자가 재실하였던 방은 매일, 그리고 퇴실 후 아포 사멸에 효과가 있는 화학제를 이용하여 살균할 것을 권고한다. 4. 소독과 청소에 대한 표준화된 매뉴얼을 만들고 과정의 적절성에 대해 평가한다. 5. 모니터링중 발견된 개선이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즉각 피드백 한다. |
항생제 스튜어드십 프로그램 | 1. 항생제 스튜어드십 프로그램은 CDI 발생의 위험인자를 조절함으로써 CDI 발생을 낮출 수 있다. 2. 단순 특정 항생제의 사용 감소를 목표로 하기 보다는 전반적인 항생제 투약의 적절성과 총 사용량을 감소시키도록 노력한다. |
Abbreviations: